오늘 한 일 

 

쿼리스트링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input 폼에 넣는 작업을 했다. 

크롤링 기능에서, 검색 결과가 없을 경우의 예외 처리를 구현 했다.

내일은 회원가입 기능을 완성할 계획이다.  

728x90

'일상 > Today I Learn(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4-13 TIL  (0) 2020.04.13
2020-04-12 TIL  (0) 2020.04.12
2020-04-08 TIL  (0) 2020.04.08
2020-04-07 TIL  (0) 2020.04.07
2020-04-06 TIL  (0) 2020.04.06

오늘 한 일 

 

깃헙 사용법을 다시 정리했다.

node.js와 express 프레임워크를 익히면서 만든 코드를 깃헙 레포지토리에 업로드했다.

 

쿼리스트링에서 데이터 가져오는 것을 팀장님 도움받아서 진행했다. 

크롬 개발자 도구를 적극 사용해야겠다.

 

 

생각거리

 

인프런을 찬찬히 둘러보니 좋은 강의가 많은 것 같다.

일단 생활코딩 이고잉님의 node.js , express 강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코드스쿼드 정호영님의 github 강의도 조금 들었다. 

전보다 컨텐츠가 훨씬많아졌고 사람들이 후기도 자세하게 남겨서 도움이 된다. 

시간을 내서 C++강의, 알고리즘 강의, 선형대수학 강의를 들어야겠다.  

 

특히 선형대수학은, 딥러닝 할 때 기본기로서 중요한 부분이다. 

예전에 딥러닝을 사용하기에 바빴지만, 이번에 시간을 내서 기본기를 다지고 싶다. 

모델 설계를 연습해서 작년에 도전 못했던 캐글에 도전해보고 싶다.

728x90

'일상 > Today I Learn(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4-12 TIL  (0) 2020.04.12
2020-04-10 TIL  (0) 2020.04.10
2020-04-07 TIL  (0) 2020.04.07
2020-04-06 TIL  (0) 2020.04.06
2020-04-04 TIL  (0) 2020.04.04

github 가입 

 

username (영구적으로 쓰이는 닉네임과 같은 것), email 을 입력하고 깃헙에 가입한다. 

잘 생각해서 정해야 할 것이 username이다. 

협업할 때, 다른 사람에게 불리고 싶은 이름으로 정하자 :)

https://github.com/

 

Build software better, together

GitHub is where people build software. More than 40 million people use GitHub to discover, fork, and contribute to over 100 million projects.

github.com

 

 

저장소 만들기 

 

저장소의 주소는 나의 username/저장소이름  이렇게 만들어진다. 이름을 잘 짓고 Create Repository를 클릭! 

 

저장소(repository)는 public과 private 두 가지 버전이 있다. 

public은 일반 유저 모두에게 공개된다. 

private은 나 혼자 보거나, 팀원들을 초대해 특정 인원만 공유한다. 

 

README 파일은 나중에 작성해도 된다. 저장소의 대문과도 같은 페이지다.

 

여담)

github는 2019년 부터 무료 사용자에게도 private 저장소를 무제한으로 제공한다. 기쁜소식 :)

무료 private 저장소는 소유자 외에, 공동작업자를 3인까지 초대 가능하다.

git hub에 유료회원 (PRO)가 되면, private 저장소에 공동작업자를 무제한으로 초대 가능하다. 

 

저장소를 만들고 나서, 초록색 버튼을 클릭해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URL을 가지고 저장소를 로컬로 Clone 해오면 된다. 

초록색 버튼을 눌러서 저장소 주소를 복사해오자. 

ZIP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도 가능하다.

 

 

SourceTree로 저장소 관리하기 

 

코드를 병합하는 merge, 가지를 치는 branch 같은 추상적인 개념을 배우기에 sourceTree 가 유용하다.

터미널 명령을 모르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소스트리의 직관적인 UI 로 이해할 수 있다. 

 

SourceTree를 설치하고 실행한다.

Clone 페이지로 가서, 저장소의 주소를 붙여넣는다. 

복제 받을 '내 컴퓨터의 경로'를 지정한다. 깃헙에 있는 저장소를 어디에 내려받을까 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참고) sourceTree 사용을 위해서는 아틀라시안에 가입해야한다.

아틀라시안은 bitbucket, confluence, Jira 와 같은 개발 및 협업 툴을 만드는 기업이다. 

bitbucket은 github과 비슷하고, confluence는 notion같고, Jira는 애자일 방식 개발론을 적용한 이슈트래커이다. 

 


 

기본 개념 3가지 

 

add -> commit -> push 순으로 코드를 깃헙에서 관리한다. 

 

add 

깃헙에서 관리할 파일을 선택하는 것을 add 라고 한다. 이를 '스테이지에 올린다'고 한다.

코드가 3개( a.js , b.js , c.js ) 있다고 하자. 

이 중에서 2(a.js, b.js ) 개만 깃헙에 올려서 관리하고 싶다. 

그렇다면 a와 b 만 add 하면 된다. add 한 파일만 깃헙의 관리대상이다. 

참고) add 대상에 인식되지 않았으면 하는 파일은 .gitignore 를 작성하여 명시해두자. 

 

 commit 

변경 사항의 '단위'조각이다. 

이렇게 저렇게 바뀌었다고 한번 캡쳐해 두는 것으로 이해하면 좋다. 변경 사항의 '시점'과도 같다.

add 한 파일에 한해서만 변경사항 commit이 가능하다! 

 

 

push  

commit들을 모아서 실제 코드에 반영하는 것을 push 라고 한다.

 

 

 

add commit push 해보기 

 

깃헙에서 관리할 코드들만 '+' 버튼을 눌러서 스테이지에 올린다. (add 한다.)

node_modules 디렉토리는 모듈의 모음이라 깃헙에서 관리할 필요가 없어서 스테이지에 add하지 않았다. 

 

 

Push를 누르고 깃헙 웹의 내 저장소에 가서 확인해본다. 

 

728x90

오늘 한 일

 

이고잉님의 생활코딩 express 강의를 들었다.

그 중에서, express 121분짜리 부분만 들었는데도, express를 활용한 프로젝트에서 라우팅 잡는 것에 아주 큰 도움이 되었다!

이고잉님 감사합니다.

웹스킨에 server 코드를 추가하여 기본 라우팅을 마쳤다.

내가 만든 크롤링 모듈을 적용하여 html form input 태그에 붙이는 작업을 성공했다.

고비라고 생각했던 부분이 풀려서 기분이 날아갈 것 같다.

 

 

생각거리 

 

코로나19 때문에 채용시장이 많이 얼어붙었다. 

약간 3초정도 걱정스럽긴 했지만,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면서 쓸데없는 미래걱정은 하지 않기로..!

728x90

'일상 > Today I Learn(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4-10 TIL  (0) 2020.04.10
2020-04-08 TIL  (0) 2020.04.08
2020-04-06 TIL  (0) 2020.04.06
2020-04-04 TIL  (0) 2020.04.04
2020-04-03 TIL  (0) 2020.04.03

오늘 한 일 

 

프로젝트 미팅에 다녀와서 진행 사항을 공유했다.

로그인,  디바이스 관리 시나리오를 공유하면서 DB설계에 관해 수정사항이 나왔다.

내가 설계하면서 놓친 부분들을 다른 분들이 발견해주셔서 감사했다.  

크롤링 모듈 만든 것 보여드리고 왔다. 

 

Node.js express의 라우팅을 배우고 프로젝트 코드에 적용했다. 

작은 성공이 생겨서 정말 기쁘다!

 

express의 라우팅을 잘 모르면서 정적 파일을 로드하려고 했다가 애먹었었다.

내일은 라우팅을 분리하는 법, 미들웨어까지 배우고 프로젝트에 적용해야겠다.  

 

 

728x90

'일상 > Today I Learn(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4-08 TIL  (0) 2020.04.08
2020-04-07 TIL  (0) 2020.04.07
2020-04-04 TIL  (0) 2020.04.04
2020-04-03 TIL  (0) 2020.04.03
2020-04-02 TIL  (0) 2020.04.02

오늘 한 일 

 

폼에 번호 입력하여, 조회된 정보들 크롤링하여 input 폼에 넣기.
웹스킨에 기능 합치기
DB 테이블 생성  
DB에 회원 정보 저장

728x90

'일상 > Today I Learn(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4-07 TIL  (0) 2020.04.07
2020-04-06 TIL  (0) 2020.04.06
2020-04-03 TIL  (0) 2020.04.03
2020-04-02 TIL  (0) 2020.04.02
2020-03-30 TIL  (0) 2020.03.30

오늘 한 일 

 

node 로 크롤링 하는 것을 만들었다. 

사용자가 입력한 대로 데이터를 조회하고, (입력, submit 클릭) 필요한 항목만 크롤링해 와서 출력한다. 

 

깃헙의 프로젝트를 클론 하고 나의 브랜치를 새로 만들었다. 

웹스킨에 기능을 붙이기 위한 작업을 시작했다. 

 

 

내일 할 일 

 

DB를 만들어서 회원가입 기능을 완성하자. 

 

 

728x90

'일상 > Today I Learn(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4-06 TIL  (0) 2020.04.06
2020-04-04 TIL  (0) 2020.04.04
2020-04-02 TIL  (0) 2020.04.02
2020-03-30 TIL  (0) 2020.03.30
2020-03-29 TIL  (0) 2020.03.29

+ Recent posts